분류 전체보기237 [Spring] 스프링의 특징 - POJO란 무엇인가 POJO(Plain Old Java Object) 위키백과: Plain Old Java Object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wikipedia.org) [POJO 프로그래밍] - 스프링의 핵심 개발자들은 "스프링의 목표는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기능을 POJO에 제공하는 것"이라고 했다. -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보안, 트랜잭션과 같은 엔터프라이즈 시스템에서 요구되는 기술 - 위의 두 문장을 재해석하면,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기술과 POJO라는 애플리케이션 로직을 담은 코드를 분리했다는 뜻이기도 하다. -> "분리됐지만 반드시 필요한 엔터프라이즈 서비스 기술을 POJO 방식으로 개발된 애플리케이션 핵심 로직을 담은 코드에 제공한다"는 것이 스프링의 강력한 특징과 목표이다. [POJO 란 무엇인가].. 2021. 8. 16. [Spring] 스프링 프레임워크란 무엇인가 1.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정의 * 자바 엔터프라이즈 개발을 편하게 해주는 오픈소스 경량급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 -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는 애플리케이션 개발의 전 과정을 빠르고 편리하며, 효율적으로 진행하는데 일차적인 목표를 둔다. - 애플리케이션의 전 영역을 관통하는 일관된 프로그래밍 모델과 핵심 기술을 통해 각 분야의 특성에 맞는 필요를 채워주고 있기 때문에 애플리케이션을 신속, 효율적으로 개발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스프링이 애플리케이션 프레임워크로 불린다. [경량급] - EJB(Enterprise JavaBean)가 동작하려면 고가의 느리고 무거운 자바 서버(WAS)가 필요했다. - 위와 달리 스프링은 단순한 서버환경인 Tomcat이나 Jetty에서도 완벽하게.. 2021. 8. 16. [Spring] xml 설정 파일 Spring의 경우 xml을 통해 bean 설정을 해줄 수 있는데, xml의 초기 설정 내용은 아래와 같다. plugin을 설치해서 자동으로 넣어줄 수도 있다고 하는데 아직 개념이 잡히지 않아서 아래에 기록용으로 남겨둔다. - bean 등록과 설정을 모두 xml로 할 경우의 기본 포맷 2021. 8. 15. [백준 알고리즘] 10951번: A+B - 4 (I/O) / hasNextInt() - Java https://www.acmicpc.net/problem/10951 10951번: A+B - 4 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 A+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www.acmicpc.net [풀이] - TMI: 이 문제는 처음에 후다닥 풀고 제출했다. 그리고 틀렸다... 로직은 맞는거 같았는데, 알고보니 종료시점 때문에 오답처리된 것이었다. 다른 블로거가 작성한 포스팅을 보니 입력의 종료는 EOF(추가로 읽을 수 있는 데이터 / End of File)가 없을 때 종료되어야한다고 기재되어 있다. 해당 문제를 풀이하면서 예제 입력에는 여러번의 테스트 케이스가 있는데 실제로 내가 먼저 제출한 코드에는 1회에 대한 것만 코딩되어 있어서 의아하긴 했다. 그렇지만 반복문을 쓰기에는 정해진 횟수나 조건이.. 2021. 8. 13. [백준 알고리즘] 2558번: A+B - 2 (I/O) - Java https://www.acmicpc.net/problem/2558 2558번: A+B - 2 첫째 줄에 A, 둘째 줄에 B가 주어진다. (0 < A, B < 10) www.acmicpc.net [간략한 풀이] - 입력과 출력만 해주면 되는 것이라 입출력문만 알면 작성 가능 입력: Scanner 사용 출력: System.out.println 사용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import java.util.Scanner; //A+B - 2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int A = scan.nextInt(); int B.. 2021. 8. 12. [Git] 다운로드 및 설치 본격적인 프로젝트 준비에 앞서 팀원들과 협업 및 버전관리를 위해 git을 다운로드 할 예정이다. *설치 이전에 cmd 창에서 git --version 이라고 검색하면 설치여부 및 버전 확인이 가능하다. 1) 사이트 접속 https://www.git-scm.com/ Git www.git-scm.com 2) 환경에 맞는 버전 다운로드 (나는 window용을 다운로드 받았음) 3)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git 을 실행한다 (21년 8월 12일 기준 최신버전은 아래와 같음) 4) default 설정으로 진행했기 때문에 계속 next를 선택했다 *vs code 도 같이 사용하는 경우가 많던데 git 초보이기 때문에 일단 기본 셋팅된 내용으로 설치 진행함..! *Use Git from Git Bash only: gi.. 2021. 8. 12.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40 다음